가상 인터뷰 36

삶이 가벼울 수 있나

삶이 가벼울 수 있나 여러 분야 유명인사에, 젊은이들까지 스스로 자신의 삶을 마감하는 일이 자주 일어나고 있습니다. 오늘은 많은 불편과 고통을 극복하고 20세기 전반의 멕시코 대표 화가로 창작의 끈을 놓지 않았던 프리다 칼로와 함께 합니다. 너무 반갑습니다. 오랫동안 뵙고 싶었습니다. 고맙습니다. 그런 인사 참 많이 듣습니다. 제가 좀 고지식하지요? 아닙니다. 긴 세월 자화상을 많이 그리셨는데 자기애가 강하신가 봐요? 병상에 있던 때, 모델 쓰기도 어렵고 제가 여자이다 보니 쉽게 응해주는 이도 없어 이래저래 내 자신을 많이 그렸습니다. 편하기도 했고요. 열여덟 살에 큰 사고를 당했어요. 그땐 어떠셨어요? 내가 탄 버스를 전차가 들이받았어요. 그 이전부터 소아마비로 다리가 불편했고요. 쇠막대가 ..

가상 인터뷰 2020.09.17

수해를 당한 이들을 향한 위로

수해를 당한 이들을 향한 위로 오늘은 인류의 영원한 스승이요 위로자라 할 노자선생님과 물에 관해 몇 마디 나누려 합니다. 제가 무척 존경하는 분이십니다. 환영해주세요.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뵙게 되어 너무도 영광입니다. 물 한 잔 줘요. 벌써 목이 마르네. 해마다 인류가 수해를 당하는데 좋은 방비가 없는 건가요? 인간의 유한성을 받아들여야지, 하늘과 싸워 이길 수는 없어. 물이 피해만 주는 건 아니잖아. 물과 불은 사람살이와 뗄 수 없어. 그러니 오행, 요일이름, 가까운 별이름에도 다 들어가 있잖아. 식물들 커서 열매 맺는데 꼭 필요한 게 햇빛과 물이야. 집터 잡는데도 젤 중요한 게 물이고. 재해를 천재와 인재로 나누지요, 어떻게든 인재는 막아야지요. 그래서 댐 만들고 축대 쌓고 산림 정비도..

가상 인터뷰 2020.09.17

기득권층 극복이 문제지요

기득권층 극복이 문제지요 오늘은 1135년 서경천도운동을 주도하고 그것이 이뤄지지 않자 반란을 일으켜 부하들에게 죽임을 당했던 정심(淨心) 묘청 스님과 수도이전에 관한 이야기를 나눠 보겠습니다. 어려운 걸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불러 줘서 고맙습니다. 거두절미하고 고려 인종 때, 왜 천도를 하려 하셨나요? 알려진 대로입니다. 개경의 지세가 다해 국운이 기울고, 사회가 혼란한데다, 금나라가 강해져 무리한 요구를 해 왔어요. 다시 강국이 되려면 지덕이 왕성한 서경으로 수도를 옮기고 칭제건원한 후 금나라를 정벌하는 게 해결책이었지요. 지금도 그게 옳았다고 생각하시나요? 그럼요. 인종임금의 결단으로 그렇게 했다면 반드시 성공했을 겁니다. 풍수지리에 다 나와 있거든요. 그러면 인종임금은 왜 그 결단..

가상 인터뷰 2020.09.17

왜 이런 일들이 반복 될까(고위직 성폭력)

왜 이런 일들이 반복 될까(고위직 성폭력) 박연폭포, 황진이와 더불어 송도삼절로 불리던 화담 서경덕 선생을 모시고 성폭력과 관련해 몇 말씀 나누어 보겠습니다. 화담 선생님, 무척 반갑습니다. 고맙고 감사해. 그리고 적잖이 걱정스러워. 예전에도 성폭력 사건들이 있었나요? 문제가 되지 않았을 뿐이지. 관기가 많았었지. 왕을 위한 여인들도 많았고 장수들은 영웅호색이라고 했고. 그럼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나요? 가정에서 불편하긴 했겠지. 사람들 감정은 늘 크게 다르지 않아. 그땐 왜 문제가 되지 않았을까요? 사회 인식이지. 분위기가 그랬다는 거야. 확실한 남성우위 사회였으니까 부인이 자기 목소리 내기가 거의 불가능했지. 그러면 오늘의 현상을 사회가 발전한 거로 볼 수 있을까요? 그럼, 모두 행..

가상 인터뷰 2020.07.15

광풍에서 벗어나는 길

광풍에서 벗어나는 길 19세기 중반 미국의 월든 호숫가에서 작은 집을 짓고 단순하게 2년 2개월을 살았던 헨리 데이빗 소로우님과 삶에 대해 몇 마디 나누려 합니다. 어서 오세요, 헨리 데이빗 소로우님. 반갑고 고맙습니다. 미국 메사추세츠 주 월든 호숫가에 손수 작은 집을 짓고 단순한 삶을 사셨어요, 근본 동기는 무엇이었나요? 생활에 꼭 필요한 것은 그리 많지 않다는 걸 보여주고 싶었어요. 우리가 추구하는 많은 것들이 본질적인 것이 아님을 확인하길 원했어요. 목적을 이루었나요? 충분히 이루었지요. 한국에 최근 부동산 광풍이 불고 있습니다, 한 마디 해 주시죠. 삶의 의미를 잘 몰라서 그렇습니다. 허상을 좇는 것이지요. 한국인들은 살 집 마련이 너무 어려워요, 이유가 뭘까요? 여러 가지 요..

가상 인터뷰 2020.07.15

코로나19의 교훈

코로나19의 교훈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를 모시고 코로나19와 관련해 몇 가지 얘기를 나누어볼까 합니다. 어서 오시죠, 히포크라테스님. 반가워. 아주 짤막하게 받아주시네요, 성함이 너무 길어서, 그냥 ‘히포’라고 하면 안 될까요? 하고 싶은 대로 해, 난 그런 거 신경 안 써. 히포님, 공식적인 자리니 경칭을 써 주시죠. 몰라, 나 불편해. 오지 말 걸 그랬나. 할 말도 별로 없는데…. 본론으로 들어가시죠, 코로나19가 왜 생겼나요? 뭘 알까만 감이랄까, 인간들이 제 자리를 잃어서야. 언젠가부터 과욕이 심해. 갖고 싶고, 이루고 싶은 게 너무 많아. 지나치게 깨끗한 척도 하고…. 벌써 반년이 다 돼 가는데 언제 코로나가 끝날까요? 백신이 나오면. 근데 백신이 빨리 나오기는 쉽지 않을..

가상 인터뷰 2020.07.15